2025. 3. 21. 12:35ㆍDEEP
의약품, 백신, 바이오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의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 외래성 바이러스(Adventitious Virus)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 필수적으로 수행됩니다. 외래성 바이러스는 제조 공정 중에 의도치 않게 유입될 수 있으며,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검사가 요구됩니다.
**In Vitro Adventitious Virus Assay(외래성 바이러스 부정 시험)**는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오염 여부를 평가하는 시험 방법으로, 국제적으로 규제 기관(FDA, EMA, ICH 등)이 요구하는 핵심 품질 관리 시험 중 하나입니다.
외래성 바이러스란?
외래성 바이러스란 의약품, 백신 또는 생물학적 제제의 제조 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혼입된 바이러스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감염된 세포주, 배양 배지, 혈청 및 원료 물질을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외래성 바이러스의 주요 유입 경로
- 세포주(Cell Line): 감염된 세포주에서 유래
- 동물성 원료(Animal-derived Components): 혈청, 배양액 등에 포함된 바이러스
-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Contamination): 제조 시설 내 바이러스 오염
In Vitro Adventitious Virus Assay의 필요성
외래성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하면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CH Q5A(R2), FDA, EMA 등의 가이드라인에서는 바이러스 부정 시험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시험의 주요 목적
- 의약품 및 백신의 안전성 확보
- 생산 공정의 무균성 검증
- 규제기관의 품질 기준 충족
In Vitro Adventitious Virus Assay 방법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 시험은 세포 배양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다양한 세포주를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관찰하고, 감염 여부를 평가합니다.
1. 시험 대상 샘플
- 배양 세포주
- 바이오의약품(항체, 단백질, 유전자 치료제 등)
- 백신 원료
- 혈청 및 배지
2. 시험 절차
- 세포 접종: 감염을 감지할 수 있는 지표 세포(Indicator Cell)에 샘플을 접종
- 배양(Incubation): 일정 기간(보통 14~28일) 동안 세포를 배양
- 세포 관찰(Cytopathic Effect, CPE): 세포 병변 효과(CPE) 발생 여부 확인
- 형광 항체법(IFA, Immunofluorescence Assay) 또는 PCR 분석: 특정 바이러스 검출
- 전자현미경 분석(필요 시): 바이러스 입자 직접 확인
3. 사용되는 세포주
- Vero cells (원숭이 신장 세포)
- MDCK cells (개 신장 세포)
- CHO cells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
- BHK-21 cells (햄스터 신장 세포)
In Vitro Adventitious Virus Assay의 장점과 한계
※ 장점
- 다양한 바이러스 검출 가능 (비특이적 검출 방법 포함)
- 바이러스 감염의 직접적 관찰 가능
- 국제 규제 기준에 부합하는 표준 방법
※ 한계
- 검출 한계 존재: 저농도 바이러스는 검출이 어려울 수 있음
- 긴 시험 기간(14~28일 필요)
- 바이러스에 감수성이 높은 세포주 필요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 시험(In Vitro Adventitious Virus Assay)은 생물학적 제제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검사 방법입니다. 바이러스 오염이 제품의 효능과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해당 검사는 필수적인 품질 관리 프로세스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ICH Q5A, FDA, EMA의 규정을 준수하여 철저한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E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코플라즈마 시험(Test for Mycoplasma) (0) | 2025.03.21 |
---|---|
마이코플라즈마 부정 실험 (Mycoplasma Negative Testing) (0) | 2025.03.21 |
ISO 13485와 클린룸 클래스 10,000: (0) | 2025.03.21 |
미생물 오염 부정시험 (0) | 2025.03.20 |
의약품 품질관리 규격제정 일반 가이드 (0) | 2025.03.20 |